-
노트북 구매시 아무것도 모르는 분들을 위해 글을 썼습니다~!
과학 기술이 발달하는 속도가 빠른 만큼 노트북의 사양도 빠르게 업그레이드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텔 i3 1세대는 2010년에 출시하여 현재 2023년 기준 13세대까지 나왔으며.
매년 1세대씩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한 세대 사이에는 성능이 크게 차이가납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성능은 발전해 왔기 때문에 좋은 성능이라도 가격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휴대폰도 성능이 상향 평준화가 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신상품을 사기보다는 중고로 저렴한 폰을 사도 문자, sns, 게임, 전화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휴대폰 중고거래가 늘고 있는 만큼 노트북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은 5년 전 출시된 노트북을 중고로 구매하여도 새 노트북처럼 잘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노트북은 내가 어떤 용도에 따라 어떤 사양이 최적인지 달라지기 때문에
첫 번째로 '내가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를 먼저 알아야 하고
두 번째는 '노트북 사양'을 알아야 합니다.
만약 아무것도 모르고 당근마켓이나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가격만 저렴하다고 덜컥 사버리면 후회합니다.
물론 사양을 몰라도 어떤 용도로 쓸지 몰라도 제일 비싸고 제일 사양 좋은 노트북을 사면 사용하는데 후회는 없을 수 있지만
노트북은 성능의 사양 말고도 화면 크기, 슬림한정도, 무게, 배터리, 터치 등등 내게 맞는 노트북을 고르는 기준은 다양하기 때문에 이 글을 한번 읽고 노트북을 찾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art.1 원하는 노트북 고를 때 고려해야 할 것들
- 노트북을 통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 원하는 화면크기는 무엇인가?
- 가벼워야 하는가?
- 슬림해야 하는가?
- 터치가 되어야 하는가?
- 180도 접히는 것이 좋은가?
이제 각 질문에 대해서 사양을 고를 수 있도록 노트북에 대해 알아봅시다.
part.2 CPU
CPU는 노트북의 핵심 부품이며 뇌의 역할을 합니다.CPU에 따라 노트북의 전체적인 속도에 큰 영향을 차지합니다. (메모리도 속도에 중요하지만 CPU가 영향이 제일 큼)
CPU는 Intel 메이커와 AMD 메이커로 나뉘지만 intel cpu를 기준으로 성능을 알아봅시다.
-셀로론, 펜티엄 : 웹 서핑, 영상시청
-i3 : (코어 2~4 코어) 문서 편집, 소셜 미디어 사용, 기본적인 업무
-i5 : (4~6 코어) 게임, 멀티미디어 편집, 중간 수준의 작업에 가능
-i7, i9 (6~10 코어) : 고성능 작업, 고성능 게임에 적합합니다.
★후회하지 않는 cpu 선택
- 셀로론, 펜티엄 CPU는 절대적으로 거릅니다. 느리고 후회합니다.
- 사무용 : I3-5세대 이상, I5-4세대 이상, I7-4세대 이상, I9-3세대 이상 사시면 후회하지 않습니다.
- 게임용 : I3-8세대 이상, I5-6세대 이상, I7-6세대 이상, 사시면 후회하지 않습니다.
part.3 RAM(메모리)
기억보조장치 RAM, 메모리카드라고도 합니다.
요즘 인터넷 한 페이지에도 영상, 사진, 링크, 배너 등등 많은 소스가 있기 때문에 기본 8GB 이상을 탑재하는 것을 추천한다.
- RAM카드는 노트북에 꽂았다 뺐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 2GB, 4GB, 8GB, 16GB, 32GB~ 이렇게 나가며 23년인 지금 시대에 중고 노트북으로 4GB를 사더라도 8GB로 업그레이드해서 사용하길 추천합니다.
★후회하지 않는 RAM 선택
- 8GB 이상
- 욕심낼수록 좋습니다.
part.4 그래픽카드
먼저 그래픽 카드는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카드로 나뉩니다.
만약 우리가 고사양 게임을 한다고 하면 외장 그래픽카드는 CPU 만큼 중요합니다.
NVIDIA와 AMD 두 회사에서 그래픽카드를 만들고 있습니다.
- NVIDIA에선 GTX, 시리즈 RTX 시리즈를 생산하고 있고
- AMD는 Radeon RX 시리즈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모델명은 사양이 좋을수록 번호가 높은데 알아야 할 것은 같은 모델명이라 할지라도 데스크톱과 랩탑(노트북)의 성능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RTX2080 모델이 있다고 할 때 데스크톱(PC)용과 랩탑(노트북)용으로 나뉘며 랩탑이 데스크톱의 성능보다 80% 정도 성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요즘은 내장그래픽 카드의 사양도 좋아져서 외장그래픽카드 없이도 고사양 게임도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열이 금방 높아져 오래 사용하면 성능이 떨어진다)
★후회하지 않는 그래픽 선택
- 중고라면 GTX1050 이상을 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새로 산다고 하면 RTX2070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 정말 고사양 게임 및 전문적인 영상편집을 한다면 RTX3080 이상 추천드립니다.
part.5 디스크(저장장치)
다섯 번째로 봐야 할 것은 저장장치 디스크입니다.
속도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SSD를 사야 합니다.
- 예전에는 HDD(하드디스크)만 있었는데 이제는 ssd 시대입니다.
- 무조건 ssd가 있는 노트북을 사면 됩니다. 그 이유는 속도차이가 10배입니다.
- 용량도 중요한데 가장 기본적인 용량은 126gb인데 게임하나 깔면 부족합니다. 하지만 사무용이라면 부족하지 않으며 영화를 다운해서 보는 사람에게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부족하면 노트북에 hdd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면 저장공간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hdd를 추가할 수 없는 노트북이라면 ssd 용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252gb 이상을 추천하지만 노트북 용량을 많이 안 쓰는 편이라면 126gb도 무난합니다.
★후회하지 않는 디스크 선택
- SSD 256GB 이상
- 노트북에 추가로 하드가 장착이 된다면 HDD를 저장공간으로 쓰기를 추천드립니다.
part.6 화면크기
- 11-12인치 :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노트북입니다.
- 13~14인치 : 일반적인 노트북 사이즈입니다. 13인치에 슬림한 노트북을 사용하면 휴대하기에 최고
- 15~16인치 : 넓은 화면을 좋아하신다면 15~16인치를 추천드립니다. 들고 다니기는 무거울 수 있습니다.
- 17~18인치 : 여기서부터는 부담스러울 정도로 클 수 있습니다.
part.7 두께
만약 게이밍 노트북이 아니라면 얇은 노트북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기 때문이며 이쁘기 때문입니다.
- 17~20 mm 가 보통 얇다고 생각이 듭니다.
- 22 mm부터는 노트북이 좀 두껍구나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part.8 쿨링
- 게임을 한다면 얼마나 쿨링이 잘되는지 봐야 합니다.
- 일반 사무 업무를 위해 구매하신다면 크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노트북을 중고로 구매한다면 개인적으로 2015년 이후에 나온 노트북들을 구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새 노트북, 중고노트북을 사든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좋은 상품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IT,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US, DELL 노트북의 특징과 장단점 (0) 2023.05.31 노트북의 역사 (0) 2023.05.31 컴퓨터 PC 핵심 부품 CPU, RAM, 하드디스크 (0) 2023.05.30 그래픽 카드란 무엇인가? (0) 2023.05.29 줌(ZOOM) 사용법, 쾌적한 회의 환경 만드는 방법 (0) 2023.05.28